Home Spring Data JPA 구현체 따라가기
Post
Cancel

Spring Data JPA 구현체 따라가기

JpaRepository

1
2
3
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ber, Long> {

}

위와 같이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려면 JpaRepository를 상속받아야 한다.

그럼 JpaRepository라는 것은 어떻게 생겼을까?

1
2
3
4
5
6
7
8
9
10
11
12
package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

@NoRepositoryBean
public interface JpaRepository<T, ID> extends PagingAndSortingRepository<T, ID>, QueryByExampleExecutor<T> {

    findAll();

    findById();

    ...
}

JpaRepository는 data.jpa.repository 패키지 내에 존재하고, findAll, findById 등 엄청나게 많은 메서드들을 명세하고 있다.

data jpa 는 기본적으로, spring data 프로젝트의 일부로,

spring data redis - spring data mongo 등 여러 데이터 접근 기술의 CRUD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이다.

또한 PagingAndSortingRepository<T, ID>, QueryByExampleExecutor 를 상속받는데 이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package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

@NoRepositoryBean
public interface PagingAndSortingRepository<T, ID> extends CrudRepository<T, ID> {

    Iterable<T> findAll(Sort sort);

    Page<T> findAll(Pageable pageable);
}

위와 같이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의 PagingAndSortingRepository는 Iterable타입 Page타입 등

기본적인 정렬과 페이징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근데 여기서 CrudRepository를 상속받는데 이 내용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package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

@NoRepositoryBean
public interface CrudRepository<T, ID> extends Repository<T, ID> {

    save();

    saveAll();

    ...
}

위와 같이 말 그대로 CRUD를 지원하는 메서드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다.

Crud 레포지토리에서 상속받는 Repository는 Spring이 Bean Scan을 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Maker Interface (기능은 없는 인터페이스)이다.


Spring Data JPA 공통 인터페이스 구성

img.png


Spring Data JPA 분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Repository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class SimpleJpaRepository<T, ID> implements JpaRepositoryImplementation<T, ID>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ID_MUST_NOT_BE_NULL = "The given id must not be null!";

    private final JpaEntityInformation<T, ?> entityInformation;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rivate final PersistenceProvider provider;

    private @Nullable CrudMethodMetadata metadata;
    private EscapeCharacter escapeCharacter = EscapeCharacter.DEFAULT;

    // ------------------- 생략 -------------------//

    @Override
    public Optional<T> findById(ID id) {

        Assert.notNull(id, ID_MUST_NOT_BE_NULL);

        Class<T> domainType = getDomainClass();

        if (metadata == null) {
            return Optional.ofNullable(em.find(domainType, id));
        }

        LockModeType type = metadata.getLockModeType();

        Map<String, Object> hints = new HashMap<>();
        getQueryHints().withFetchGraphs(em).forEach(hints::put);

        return Optional.ofNullable(type == null ? em.find(domainType, id, hints) : em.find(domainType, id, type, hints));
    }
}

위와 같이 구현체를 보면 그냥 EntityManager를 사용하는 것 뿐이다.

일단 중요한 점은 @Repository와 @Transactional(readOnly = true) 구문이다.

@Repository의 기능

  1. 컴포넌트 스캔
  2. 하부 기술의 예외에 대한 처리

2번기능 같은 경우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JDBC Exception이 발생했을 때, 이를 Spring이 다룰 수 있는 예외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Data Access 에 관한 하부기술을 JPA에서 JDBC로 변경하여도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그 예외를 처리하기 위한

부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다. (하부 구현 기술을 바꿔도 기존 비즈니스 로직에 문제가 없게된다!)

@Transactional

Spring Data JPA 메서드를 사용한다면 @Transactional을 따로 붙여주지 않아도 트랜잭션을 걸고 시작하게 된다.

조회가 많아서 readOnly 옵션을 true로 해주었지만

저장같은 메서드는 readOnly 옵션을 제거한 @Transactional 을 따로 붙여주고 있다.

또한 readOnly를 true로 해주면 flush()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할 때만 flush를 호출하도록 하면

약간의 성능상 이점을 가져갈 수 있다.

여기서 궁금증

@Transactional이랑 영속성 컨텍스트랑 생명주기가 같은데.

save()메서드를 호출하고 다른 작업을 해봤을 대 (저번 주 지원이형이랑 했던 테스트코드) 분명 영속성 컨텍스트에 save한 엔티티가 들어있어서

추가적인 쿼리가 나가지 않았다. 이게 어떻게 된 것일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TeamRepository teamRepository;

    @Autowired
    EntityManager manager;

    @BeforeEach
    void init() {
        Team teamJohn = new Team("John");
        Team teamDiger = new Team("Diger");
        Member Diger = new Member("Diger Kim");
        Member John = new Member("John Jeong");

        teamRepository.save(teamJohn);
        teamRepository.save(teamDiger);

        Diger.setTeam(teamDiger);
        John.setTeam(teamJohn);

        memberRepository.save(Diger);
        memberRepository.save(John);
    }

    @Test
    void readMemberWithJoin() {
        System.out.println("2----------------------------");
        List<Member> members = memberRepository.readMemberWithJoin();
        for (Member member : members) {
            System.out.println("member = " + member.getTeam().getName());
        }
        System.out.println("2----------------------------");
    }
}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Transactional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 {
    void save(Member member) {
        System.out.println("member Id = " + member.getName());
        em.persist(member);
    }
}

Spring Data JPA가 제공하는 save()의 중요한 점

이미 존재하는 엔티티가 아닐 경우에는 persist()

이미 존재하는 엔티티일 경우에는 merge() 메서드를 호출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Repository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class SimpleJpaRepository<T, ID> implements JpaRepositoryImplementation<T, ID> {
    @Transactional
    @Override
    public <S extends T> S save(S entity) {

        Assert.notNull(entity, "Entity must not be null.");

        if (entityInformation.isNew(entity)) {
            // 새로운 엔티티면 저장
            em.persist(entity);
            return entity;
        } else {
            // 새로운 엔티티가 아니면 병합 (현재 들어온 엔티티를 DB에서 가져온 데이터에 덮어쓴다.)
            // Merge의 단점은 DB의 Select 쿼리가 나가게 된다는 것이다.
            // 따라서 되도록이면 save()메서드(merge())를 통해서 이미 존재하는 엔티티의 값을 수정하고 저장하면 안된다.
            // 그럴땐 Dirty Checking 기능을 활용하도록하자.
            return em.merge(entity);
        }
    }
}

새로운 엔티티를 구별하는 방법

객체 식별 기본 전략

  • 식별자가 객체일 때 Null 검증, Null 일땐 새로운 엔티티로 판단한다.

  • 식별자가 기본 타입일 때 0이면 새로운 엔티티로 판단한다.

이 전략을 알아둬야하는 이유가 있다.

1
2
3
4
5
6
@Entity
public class Item {

    @Id @GenereatedValue
    private Long id;
}

우리는 보통 위와 같이 객체 식별자를 등록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 주의해야할 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과 같이 엔티티를 설계했을 때, isNew()메서드에서는 어떻게 인식을 할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Entity
public class Item {

    @Id
    private String uuid;
}

class ItemRepositoryTest {

    @Autowired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Test
    public void save() {
        Item item = new Item("A");
        itemRepository.save(item);
    }
}

isNew()메서드는 새로운 객체임을 인식하지 못한다. (Null이 아닌 값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merge를 하게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Merge는 엔티티가 영속성 컨텍스트 생명주기에서 Detached 되었다가 다시 Attached 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굳이 쓸 일도 이유도 없는 기능이다.

그럼 위와 같은 상황은 어떻게 해결해야하는가??

Persistable 구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Entity
public class Item implements Persistable<String> {

    @Id
    private String uuid;

    @Override
    public String getUuid() {
        return uuid;
    }

    @Override
    public boolean isNew() {
        // 새로운 객체인지 판별하는 로직을 작성해야한다.
        return false;
    }
}

Persistable 구현 및 JPA Auditing 활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Entity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
public class Item implements Persistable<String> {

    @Id
    private String uuid;

    @CreatedDate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Date;

    @Override
    public String getUuid() {
        return uuid;
    }

    @Override
    public boolean isNew() {
        // 새로운 객체인지 판별하는 로직을 작성
        return createdDate == null;
    }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