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Caffeine Cache를 활용하여 홈 API 응답시간 개선
왜 홈 API에 캐시를 적용했는가?
사용자들의 빈번한 CS로 홈 화면의 로딩이 느리게 된다는 점을 제보받았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측 모두 개선할 여지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개선해보고자 했다.
캐싱된 데이터가 가장 최신의 데이터라는 것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은?
서버에서 캐시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캐시의 버전을 업데이트하고 클라이언트는 요청할 때 버전을 함께 전달하도록 한다.
서버는 현재 버전과 클라이언트가 전달한 버전을 비교하여 최신인지 확인하여 데이터의 최신화 여부를 판별하면 될 것 같다.
왜 로컬 캐시 중 Caffeine Cache를 적용했는지?
- 캐시 전략에 우선순위를 부여 가능하다.
- 캐시 히트율이 매우 높은 알고리즘인
Window TinyLFU
를 제공한다.
Caffeine 캐싱 데이터 저장 방식
- JVM Heap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Caffeine Cache 구조
%%{init: { 'theme':'dark', 'themeVariables': { 'fontSize': '24px', 'fontFamily': 'Arial' } }}%%
graph LR
subgraph CaffeineStructure["Caffeine Cache"]
direction LR
NewData["새로운 데이터"]
WindowCache["Window Cache<br/>(전체 크기의 1%)"]
WE["방출된 데이터"]
ProbationCache["Probation Cache<br/>(Main Cache 20%)"]
ProtectedCache["Protected Cache<br/>(Main Cache 80%)"]
PE["방출된 데이터"]
NewData --> WindowCache
WindowCache -- "LRU 방출" --> WE
WE -- "TinyLFU<br/>진입 정책" --> ProbationCache
ProbationCache -- "재접근 발생" --> ProtectedCache
ProtectedCache -- "LRU 방출" --> PE
PE -- "TinyLFU<br/>진입 정책" --> ProbationCache
end
classDef cacheBox fill:#2a4858,stroke:#68c1e8,stroke-width:3px,color:#fff
classDef dataBox fill:#2d2b55,stroke:#a277ff,stroke-width:3px,color:#fff
class WindowCache,ProbationCache,ProtectedCache cacheBox
class NewData,WE,PE dataBox
style CaffeineStructure fill:#2a2a2a,stroke:#666,stroke-width:3px,color:#fff
Window Cache (1%)
- 모든 신규 데이터의 첫 진입점
- 버스트 트래픽으로부터 Main Cache 보호
- LRU 정책으로 공간 확보
- 방출 데이터는 TinyLFU 정책으로 Probation으로 이동 시도
Main Cache (99%)
Probation Cache (20%)
- 새로운 데이터의 유용성 검증 공간
- TinyLFU 정책으로 데이터 관리
- 자주 접근되는 데이터는 Protected로 승격
Protected Cache (80%)
-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보관
- LRU 정책으로 공간 확보
- 방출 데이터는 TinyLFU로 Probation 이동 시도
TinyLFU 정책
%%{init: { 'theme':'dark' }}%%
graph TD
subgraph TinyLFUFlow["TinyLFU 진입 정책"]
Start[진입 요청] --> CompareFreq{접근 빈도<br/>비교}
CompareFreq -->|"Candidate > Victim"| Accept[Candidate 승인<br/>Victim 제거]
CompareFreq -->|"Candidate < Victim"| Reject[Candidate 거부<br/>Victim 유지]
CompareFreq -->|"Candidate = Victim"| RejectEqual[Candidate 거부<br/>기존 데이터 보호]
Start --> CheckFreq{접근 횟수<br/>확인}
CheckFreq -->|"5회 미만"| RejectLow[Candidate 거부<br/>캐시 오염 방지]
end
classDef flowBox fill:#2d2b55,stroke:#a277ff,stroke-width:2px
class Start,CompareFreq,Accept,Reject,RejectEqual,CheckFreq,RejectLow flowBox
왜 LRU와 LFU를 섞어서 쓰는건가?
우선 Window 캐시에서 용량이 다 찼을 때 LRU를 하는데 이는 새로 들어온 데이터가 바로 내보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LFU를 썼다면 새로운 캐시는 들어오자마자 방출후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Window Cache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캐시를 Tiny LFU 알고리즘으로 기존 Probation 영역에 있는 데이터와 비교해서 대체되던지 제거되던지 결정한다.
그리고 Protected Cache에서도 LRU를 활용하는데 가장 오래 참조되지 않은 보호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Probation으로 강등시키거나 제거할 때 사용된다.
용어 정리
%%{init: { 'theme':'dark', 'themeVariables': { 'fontSize': '24px', 'fontFamily': 'Arial' } }}%%
graph TB
subgraph Terminology["핵심 용어 정리"]
A["`Candidate
━━━━━━━━━
LRU로 방출된 데이터
(Window Cache/Protected Cache 데이터)`"]
B["`Victim
━━━━━━━━━
Probation Cache 내에서
제거 대상이 될 수 있는 데이터`"]
C["`Window Cache
━━━━━━━━━
버스트 트래픽으로부터
캐시 오염을 방지`"]
D["`Probation Cache
━━━━━━━━━
Tiny LFU 알고리즘을 통해
승격된 캐시가 담긴 공간`"]
E["`Protected Cache
━━━━━━━━━
재사용이 확인된
데이터를 보관하는 공간`"]
A --- B
C --- D --- E
end
classDef termBox fill:#1e3339,stroke:#61efce,stroke-width:3px,font-size:24px,text-align:center
class A,B,C,D,E termBox
- Candidate: Window/Protected Cache에서 Probation으로 이동 시도하는 데이터
- Victim: Probation Cache에서 제거 대상 데이터
판단 규칙
- Candidate 접근 횟수 > Victim 접근 횟수
- Victim 제거, Candidate 진입
- Candidate 접근 횟수 < Victim 접근 횟수
- Candidate 제거, Victim 유지
- Candidate 접근 횟수 = Victim 접근 횟수
- Candidate 제거 (기존 데이터 보호)
- Candidate 접근 횟수 < 5
- Candidate 제거 (캐시 오염 방지)
- 적용 시점
- Window Cache 방출 데이터의 Probation 진입 시
- Protected Cache 방출 데이터의 Probation 진입 시
실제 코드로 적용해보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Configuration
public class CacheConfig {
@Bean
public CacheManager cacheManager() {
SimpleCacheManager cacheManager = new SimpleCacheManager();
List<CaffeineCache> caches = Arrays.stream(CacheType.values())
.map(cache -> new CaffeineCache(cache.getCacheName(), Caffeine.newBuilder().recordStats()
.expireAfterWrite(cache.getExpiredAfterWrite(), TimeUnit.SECONDS)
.maximumSize(cache.getMaximumSize())
.build()
)
)
.collect(Collectors.toList());
cacheManager.setCaches(caches);
return cacheManager;
}
}
위와 같은 CacheManager를 Bean으로 등록해줬다.
또한 어떤 데이터를 캐싱할지를 정의하기 위해 아래 CacheType을 정의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Getter
public enum CacheType {
LECTURE("lecture", 10 * 60, 1000);
CacheType(String cacheName, int expiredAfterWrite, int maximumSize) {
this.cacheName = cacheName;
this.expiredAfterWrite = expiredAfterWrite;
this.maximumSize = maximumSize;
}
private final String cacheName;
private final Integer expiredAfterWrite;
private final Integer maximumSize;
}
위 두 가지 요소들로 캐시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해줬다면 실제 컨트롤러 부분에서 캐시를 적용시켜야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Cacheable(cacheNames = "lecture") // Cache 적용
@CacheStatics // 캐시 Miss/Hit 통계를 위한 Aspect 애노테이션
@ApiLogger(option = "lecture")
@GetMapping("/all")
public ResponseEntity<LectureAndCountResponseForm> findAllLectureApi(
@RequestParam(required = false) String option,
@RequestParam(required = false) Integer page,
@RequestParam(required = false) String majorType
) {
LectureFindOption findOption = new LectureFindOption(option, page, majorType);
LectureAndCountResponseForm response = lectureService.readAllLecture(findOption);
return ResponseEntity.ok(response);
}
Local Cache - Ehcache vs Caffeine 성능 비교
캐시 성능 비교 (Server 환경, 초당 작업 수)
1. Read Only (100% 읽기)
8스레드 환경:
- Caffeine: 181,703,298 ops/s
- Ehcache2: 11,252,172 ops/s
- Ehcache3: 11,415,248 ops/s
16스레드 환경:
- Caffeine: 382,355,194 ops/s
- Ehcache2: 20,750,543 ops/s
- Ehcache3: 17,611,169 ops/s
2. Mixed (75% 읽기, 25% 쓰기)
8스레드 환경:
- Caffeine: 144,193,725 ops/s
- Ehcache2: 9,472,810 ops/s
- Ehcache3: 10,958,697 ops/s
16스레드 환경:
- Caffeine: 279,440,749 ops/s
- Ehcache2: 8,471,016 ops/s
- Ehcache3: 17,302,523 ops/s
3. Write Only (100% 쓰기)
8스레드 환경:
- Caffeine: 55,281,751 ops/s
- Ehcache2: 4,205,936 ops/s
- Ehcache3: 10,051,020 ops/s
16스레드 환경:
- Caffeine: 48,295,360 ops/s
- Ehcache2: 4,697,745 ops/s
- Ehcache3: 13,939,317 ops/s
위 벤치마크 결과를 본다면 압도적으로 카페인 캐시가 성능이 좋게 나온다.
성능이 좋다고 무조건 쓰는게 좋은 것은 아니므로 기존 환경을 잘 고려하여 선택하면 될 것 같다.
성능 개선 측정은 어떻게 했는지?
포스트맨으로 측정했다. 최근에 JMeter, nGrinder등 성능 측정, 모니터링 툴을 알게되어 이러한 도구들을 쓸 수도 있을 것 같다.
캐시가 효과가 있는지는 어떻게 아는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CacheStaticsLogger {
private final CacheManager cacheManager;
public void getCachesStats(String cacheKeys) {
CaffeineCache cache = (CaffeineCache) cacheManager.getCache(cacheKeys);
CacheStats stats = Objects.requireNonNull(cache).getNativeCache().stats();
log.info("Cache hit count: " + stats.hitCount());
log.info("Cache miss count: " + stats.missCount());
}
}
위와 같은 CacheStats 객체를 통해 캐시 히트와 캐시 미스의 대한 지표를 얻을 수 있다.
이 객체를 활용, 로그를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캐시가 히트됐을 때의 응답속도를 측정하면 근거가 될 것으로 본다.
캐시의 TTL은 어떻게 지정할까?
캐시 히트율을 통계로 추출하여 캐시 TTL을 조정해가며 적절한 타협점을 찾는게 좋을 것 같다.
캐시 TTL을 짧게 가져갔을 때와 길게 가져갔을 때의 장/단점은 어떤게 있을까?
TTL을 짧게 가져간다면
- 캐싱된 데이터가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데이터에 빠르게 반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하지만 자주 변하지 않는 데이터라면 캐시를 교체하는 리소스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TTL을 길게 가져간다면
- 캐시를 교체하는 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캐싱된 데이터를 변경없이 오랫동안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하지만 캐시가 교체되어야할 시점에 적절하게 교체되지 못하여 변경 전의 데이터를 장기간 제공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따.
해당 캐시가 가장 최신의 데이터임을 판별하는 방법은?
캐시에 메타데이터
를 넣으면 어떨까?
캐시 데이터에 해당 캐시의 버전을 표기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버전 싱크를 맞추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클라이언트는 응답 받은 데이터의 캐시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고 이전에 받은 데이터의 버전과 일치한다면 최신 버전으로 간주하고
- 만약 버전이 변경되었다면 새로운 캐시를 받아 반영하는 방식을 적용한다면 될 것 같다.
캐시 신선도를 활용하기 위한 eTag 활용하기
위에서 언급한 방법을 실제 코드로 적용한 바는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onfiguration
public class ETagConfig {
@Bean
public ShallowEtagHeaderFilter shallowEtagHeaderFilter() {
FilterRegistrationBean<ShallowEtagHeaderFilter> filterFilterRegistrationBean = new FilterRegistrationBean<>(
new ShallowEtagHeaderFilter()
);
filterFilterRegistrationBean.addUrlPatterns("/lecture/all");
filterFilterRegistrationBean.setName("etagFilter");
return new ShallowEtagHeaderFilter();
}
}
위와 같이 ETag를 추가하면, 응답에 ETag
라는 헤더 네임을 가진 MD5 Payload
가 생성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가 if-None-Match
라는 이전에 응답 받았던 요청 헤더에 MD5 Payload
를 넣고 요청하게되면 캐시의 변동사항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전에 받은 캐시 내용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면 HTTP Status 304을 내리게 되는데 클라이언트는 이 상태 코드를 보고 데이터를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