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Fundamental of OperatingSystem
Post
Cancel

Fundamental of OperatingSystem

1.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점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디스크에 있는 프로그램이 실제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행 중인 작업을 나타낸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PCB를 통해 해당 프로세스의 정보를 관리하는데 PCB가 담고있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

  • PID
  • Process의 상태
  • PC 레지스터
  • 스택 포인터
  • 등…

이 정보들이 필요한 이유는 여러 프로세스를 번갈아가면서 처리하는데, 이 때 각 프로세스에 대한 처리를 기록해야 정상적인 처리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프로세스는 문맥교환이 일어날 때 현재 프로세스의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프로세스의 상태를 불러와야하므로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또한 프로세스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 Code : 컴파일된 소스 코드 저장
  • Data: 전역 변수/초기화된 데이터 저장
  • Stack: 임시 데이터(함수 호출, 로컬 변수 등)저장
  • Heap: 코드에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저장

쓰레드

쓰레드는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를 이야기한다. 따라서 프로세스에 여러 개의 쓰레드는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모두 공유한다.


2.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스레드의 공통/차이점

공통점

  •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 운영체제의 스케줄링을 통해 작업을 관리한다.
  • 작업 간의 통신이 필요하다.

차이점

  • 프로세스메모리를 독립적으로 사용하지만 / 쓰레드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 이로인해 프로세스문맥 전환 비용이 크지만 / 쓰레드는 문맥 교환 비용이 작다.
  • 프로세스는 스레드보다 많은 메모리 공간CPU시간을 차지한다.
  •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에서 문제가 생겨도 오류가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지만 / 쓰레드는 공유된 영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쓰레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파될 가능성이 커 안정성이 비교적 낮다.

3. 언제 멀티 프로세스, 멀티 스레드를 사용하면 될까? (멀티 프로세스 예시가 적절한게 안떠오름)

멀티 프로세스 사례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팅 환경

인텔리제이를 키고, 데이터그립을 키고, 웹 브라우저를 키고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사용한다.

멀티 쓰레드 사례

웹 브라우저

하나의 브라우저에 A,B 탭이 있을 때 A탭이 사용 불능 되어도 B탭은 사용할 수 있다.

게임

하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래픽 렌더링, 물리 엔진 컴퓨팅 등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한다.


4. 프로세스 메모리 영역

  • Code : 컴파일된 소스 코드 저장
  • Data: 전역 변수/초기화된 데이터 저장
  • Stack: 임시 데이터(함수 호출, 로컬 변수 등)저장
  • Heap: 코드에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저장

5. Call By Value(자체 값의 복사), Reference(값의 주소 참조)

참고 블로그

Primitive Type

원시타입의 파라미터는 Value로 사용된다. Primitive Type의 값은 메모리 상에 직접 저장되기 때문에, 파라미터로 전달된 값을 변경하면 원본 값도 변경된다.

원시 타입 도식화

1
2
3
4
5
6
7
8
9
       +-----------------------------------+
       |          Stack Memory             |
       |                                   |
       |  +--------------+                 |
       |  |    Variable  |                 |
       |  |  (Primitive Type)              |
       |  +--------------+                 |
       |                                   |
       +-----------------------------------+

위 그림과 같이 기본 타입을 직접 가지고 있게 된다.

Reference Type

참조타입(객체, 배열 등)의 파라미터는 Reference를 가지고 있다. Reference Type의 값은 메모리 상에 객체로 저장되기 때문에, 파라미터로 전달된 Reference를 변경하면 원본 객체의 참조가 변경된다.

파라미터가 Reference Type인 경우 해당 참조힙 메모리에 있는 객체를 가리키고 이 객체는 힙 메모리에 저장된다.

객체의 데이터와 메서드는 힙 메모리에 저장되며, 참조는 스택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파라미터가 Reference Type인 경우 실제 객체는 힙 메모리에 저장되고, 스택 메모리의 참조가 해당 객체를 가리키게 된다.

참조 타입 도식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          Stack Memory             |
       |                                   |
       |  +--------------+                 |
       |  |   Reference  |                 |
       |  |    Variable  |                 |
       |  +--------------+                 |
       |       (참조 변수)                   |
       |                                   |
       +--------------|-------------------+
                      |
                      |
                      v
       +--------------|-------------------+
       |          Heap Memory              |
       |                                   |
       |  +--------------+                 |
       |  |    Object    |                 |
       |  |   (데이터 및 메서드) |             |
       |  +--------------+                 |
       |        (객체)                      |
       |                                   |
       +-----------------------------------+

예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primitiveVariable = 1;
        int[] referenceVariable = {1};

        // 변수 자체를 보냄 (call by value)
        increasePrimitiveValue(primitiveVariable);

        // 1 : 값 변화가 없음
        System.out.println(var);

        // ------------------------------------ //

        // 배열 자체를 보냄 (간접적 call by reference)
        increaseReferenceValue(referenceVariable);

        // 101 : 값이 변화함
        System.out.println(arr[0]);
    }

    private static void increasePrimitiveValue(int primitiveVariable) {
        primitiveVariable += 100;
    }

    private static void increaseReferenceValue(int[] referenceVariable) {
        referenceVariable[0] += 100;
    }
}

예시 코드 메모리 도식화

increasePrimitiveValue()

함수 실행 전 메모리

함수 실행 후 메모리

increaseReferenceValue

함수 실행 전 메모리

함수 실행 후 메모리

결론

각 메서드는 고유한 스택 프레임을 가지기 때문에 참조값을 파라미터로 넘기는 것이 아니면 파라미터 값을 수정해도 다른 메서드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그리고 이 방식을 Call By Value라고 한다.

주소값을 넘기는데 왜 Call by Value라고 하는걸까?

C언어에서는 Call by Reference방식을 사용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가 *포인터와, &주소 연산이다.

사용자가 직접 주소값에 접근하고 다룰 수 있게 하는 C언어와 달리, 간접적으로 타입에 의존하여 주소값을 넘기는 Java는 Call By Reference라고 하질 않는 것이다.

그러면 왜 Java는 Call By Value를 채택했는가?

주소값을 사용자가 직접 다루게 된다면 예기치 못한 코드에서 메모리에 접근하여 값을 변경하고 이를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원치 않은 결과를 받을 수 있다.

Call By Value는 파라미터로 전달되는 값이 실제 값이 아닌 복사된 값이 전달되는 것으로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지만 코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Java는 Call By Value를 사용한다.


6. Sync-Async, Blocking - Non-Blocking

  • 예를들어, IO(입출력)를 처리할 때 Sync와 Async의 차이는 요청한 순서가 지켜지는가 아닌가에 있고

  • Blocking과 Non-blocking은 그 요청에 대해 받은 쪽에서 처리가 끝나기 전에 리턴해주는가 아닌가에 있다.

Blocking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 할 때, B 함수가 자신의 작업이 종료되기 전까지 A 함수에게 제어권을 돌려주지 않는 것

Non-blocking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 할 때, B 함수가 제어권을 바로 A 함수에게 넘겨주면서, A 함수가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Sync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 할 때, B 함수의 결과를 A 함수가 처리하는 것.

Async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 할 때, B 함수의 결과를 B 함수가 처리하는 것. (callback)


Sync-Blocki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ublic class SyncNonBlock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 waitOneSecond 함수 호출 후 바로 다음 코드가 실행된다.
        System.out.println("Sync-nonBlocking 시작");
        waitOneSecond();
        System.out.println("Sync-nonBlocking 종료");
    }

    private static void waitOneSecond()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Thread.sleep(1000);
    }
}

Sync-NonBlocki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ublic class SyncNonBlock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 waitOneSecond 함수 호출 후 바로 다음 코드가 실행된다.
        System.out.println("Sync-nonBlocking 시작");
        waitOneSecond();
        System.out.println("Sync-nonBlocking 종료");
    }

    private static void waitOneSecond()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Thread.sleep(1000);
    }
}

Async-Blocki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public class AsyncBlock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 1초 동안 대기하는 함수
        private static void waitOneSecond()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Thread.sleep(1000);
        }

        // Async-Blocking 코드
        // 함수 호출 후 다음 코드가 실행되기 전까지 대기한다.
        // 함수의 결과는 나중에 콜백 함수에서 처리한다.
        System.out.println("Async-Blocking 시작");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SingleThreadExecutor();
        CompletionStage<Void> future = executorService.submit(() -> {
            try {
                waitOneSecond();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return null;
        });
        future.get();
        System.out.println("Async-Blocking 종료");
        executorService.shutdown();
    }
}

Async-NonBlocki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public class AsyncNonBlock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 1초 동안 대기하는 함수
        private static void waitOneSecond()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Thread.sleep(1000);
        }

        // Async-nonBlocking 코드
        // 함수 호출 후 바로 다음 코드가 실행된다.
        // 함수의 결과는 나중에 콜백 함수에서 처리한다.
        System.out.println("Async-nonBlocking 시작");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SingleThreadExecutor();
        executorService.submit(() -> {
            try {
                waitOneSecond();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System.out.println("Async-nonBlocking 종료");
        executorService.shutdown();
    }
}

7. CPU 스케쥴링 기법

선점형 알고리즘

다른 프로세스에 CPU의 처리 순서를 양보한다. 이 과정에서 문맥 교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처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Round Robin

각 프로세스마다 동일한 시간을 할당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에도 자주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 공평하게 자원을 분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근소한 차이로 작업을 처리하지 못했을 경우 해당 프로세스의 처리가 지연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SRT (Shortest Remaining Time)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이 가장 짧다고 계산된 순으로 처리하도록한다. 처리량이 높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우선적으로 처리해야할 프로세스에 대해 지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작업 1, 작업 2, 작업 3이 순서대로 들어오는 환경에서

  • 작업 1의 작업 시간 : 10초
  • 작업 2의 작업 시간 : 5초
  • 작업 3의 작업 시간 : 3초

작업 1을 먼저 처리하는 중 5초 후 작업 2를 처리하도록 문맥 교환하고, 작업 2 처리를 시작한 3초 후 작업 3을 처리하는 흐름이다.

다단계 큐

작업에 대한 큐를 여러 개 두어 각 큐마다 다른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하여 처리한다.

큐는 수직적으로 배치되며 상위 단계의 작업이 먼저 선점된다.

다단계 피드백 큐

새로운 프로세스는 높은 우선순위를 갖지만 프로세스의 실행시간이 늘어날수록 낮은 우선순위 큐로 이동하며 마지막 단계에서 FCFS가 적용된다.


비선점형 알고리즘

다른 프로세스에 CPU의 처리 순서를 양보하지 않는다.

FCFS 스케줄링 (First Come First Served Scheduling)

먼저 들어온 작업 순으로 처리된다.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지 못할 수 있다.

SJF 스케줄링(Shortest Job First Scheduling)

가장 작업 시간이 짧은 순으로 처리된다. 수행시간이 긴 작업은 기아현상에 취약하다.

HRRN 스케줄링(Highest Response Ratio Next Scheduling)

프로세스 처리의 우선 순위를

  • CPU 처리 기간과
  • 해당 프로세스의 대기 시간

을 동시에 고려해 선정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SJF 스케줄링의 문제점인 수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의 무한 대기 현상(기아 현상)을 보완해 개발된 스케줄링이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