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KRaft Carft하기
Post
Cancel

KRaft Carft하기

참고자료


  • KRaft(Kafka Raft Metadata mode) 배경 및 개요
  • KRaft 동작 방식
  • KRaft 구성 방식
    • 별도의 Controller를 사용하여 구축하기
    • Kraft와 Broker를 통합하기
  • KRaft서버 권장 스펙
  • 벤치마킹 (KRaft vs Zookeeper)
  • Kafka 도입 전 고려해야할 사항
  • KRaft를 적용하여 Kafka 기동시키기
  • Controller Failover
  • 정족수(Quorum)

KRaft(Kafka Raft Metadata mode) 배경 및 개요

KIP-500 카프카에서 주키퍼 의존성을 제거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위 링크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KRaft는 Kakfa 자체에 메타데이터관리에 대한 책임을 통합하여 Kafka 아키텍처를 간소화한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방식인 Zookeeper를 이용하는 방식과 KRaft방식으로 카프카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카프카 클러스터를 배포하기 위해 브로커 뿐만 아니라 ZooKeeper를 관리하고, 배포하고, 모니터링을 해야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운영 관리를 넘어서, 추가로 별도의 물리적 서버 자원의 할당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두 시스템은 서로 다른 설정과 운영 방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복잡성이 증가한다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개선하고자 KRaft모드가 도입됐습니다.

KRaft방식은 기존 Zookeeper Quorum, Redis Sentinel과 유사하게 Failover상황에서 Quorum을 진행하기위한 Quorum Controller를 사용합니다. 이 Quorum Controller가 가져다줄 수 있는 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적절한 수의 브로커로 크기가 조정되고 사용 사례의 처리량 및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계산되는 클러스터를 의미하며 수백만 개의 파티션까지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아키텍처 단순화로 모니터링, 관리의 편의성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전체 시스템에 대해 단일 보안 모델을 가질 수 있습니다.
  4. 구성, 네트워킹 설정,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통합 관리 모델 구축이 가능합니다.
  5. Kafka를 경량의 단일 프로세스로 기동시킬 수 있습니다.
  6. 컨트롤러 장애 조치(Failover 처리)를 거의 즉각적으로 수행 가능합니다. (이는 Failover 성능 벤치마크 지표로 알 수 있습니다.)

KRaft 동작 방식

쿼럼 컨트롤러는 KRaft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브로커의 메타데이터가 쿼럼 전체에 복제되도록 합니다.

쿼럼 컨트롤러는 이벤트 소스 저장소 모델을 사용하여 (각 브로커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보관소) 상태를 저장합니다.

이 상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이벤트 로그 (메타데이터 토픽)은 로그가 무한정으로 커지지 않도록 정기적인 스냅샷을 기록합니다. (로그 컴팩션)


KRaft 구성 방식

KRaft모드는 Zookeeper와 마찬가지로 여러 구성방식이 존재합니다.

1. 별도의 Controller를 사용하여 구축하기

위와 같이 KRaft를 위한 컨트롤러 노드를 별도로 배치하여 높은 가용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초점을 둘 수 있습니다. 이 방식으로 만약 브로커가 중단되더라도 KRaft는 장애 전파없이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의 관리 효율성과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더 우선시해야한다면 이 방식을 고려할만합니다.

2. KRaft와 Broker를 통합하기

위와 같이 컨트롤러와 브로커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서버의 리소스가 한정적인 경우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지만 분리하여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권장되는 구성은 아닙니다.

라이브 환경이 아닌 개발환경에서는 이 구성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KRaft서버 권장 스펙

  • CPU
    • CPU를 공유하는 경우 Dedicated CPU
  • MEM
    • 최소 4GB
  • DISK
    • 최소 SSD 64GB
  • JVM
    • 최소 1GB

벤치마킹 (KRaft vs Zookeeper)

아래 공식 문서의 벤치마크를 참고해보면 KRaft모드가 압도적으로 장애 회복 시간이 더 우수합니다.


Kafka 도입 전 고려해야할 사항

  • 어떤 모드를 선택할 것인가?
  • Zookeeper 혹은 KRaft를 사용할 때 어떤 구성을 가져갈 것인가?
    • Zookeeper : Zookeeper를 브로커로 사용할 하나의 노드에 통합하여 운용하기 vs Zookeeper를 서비스할 노드를 추가하기
    • KRaft : QuorumController를 브로커로 사용할 하나의 노드에 통합하여 운용하기 vs QuorumController를 서비스할 노드를 추가하기

KRaft를 적용하여 Kafka 기동시키기

1. Kafka 설정

1
2
3
4
5
6
7
cd /usr/local/kafka_version

# log directory 생성
sudo mkdir -pv logs/kraft-combined-logs

# kraft config변경
sudo vim config/kraft/server.properties

2. Server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Server Basics #############################
process.roles=broker,controller
node.id=1
controller.quorum.voters=1@${kafkaHostAddress1}:9093,2@${}kafkaHostAddress2}:9093,3@${kafkaHostAddress3}:9093

############################# Socket Server Settings #############################
listeners=PLAINTEXT://${kafkaHostAddress1}:9092,CONTROLLER://${kafkaHostAddress1}:9093
advertised.listeners=PLAINTEXT://${kafkaHostAddress1}:9092

############################# Log Basics #############################
log.dirs=/usr/local/kafka_version/logs/kraft-combined-logs
num.partitions=3

############################# Internal Topic Settings  #############################
offsets.topic.replication.factor=3
transaction.state.log.replication.factor=3
transaction.state.log.min.isr=3

3. Server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Server Basics #############################
process.roles=broker,controller
node.id=2
controller.quorum.voters=1@${kafkaHostAddress1}:9093,2@${}kafkaHostAddress2}:9093,3@${kafkaHostAddress3}:9093

############################# Socket Server Settings #############################
listeners=PLAINTEXT://${kafkaHostAddress2}:9092,CONTROLLER://${kafkaHostAddress2}:9093
advertised.listeners=PLAINTEXT://${kafkaHostAddress2}:9092

############################# Log Basics #############################
log.dirs=/usr/local/kafka_version/logs/kraft-combined-logs
num.partitions=3

############################# Internal Topic Settings  #############################
offsets.topic.replication.factor=3
transaction.state.log.replication.factor=3
transaction.state.log.min.isr=3

4. Server 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Server Basics #############################
process.roles=broker,controller
node.id=3
controller.quorum.voters=1@${kafkaHostAddress3}:9093,2@${}kafkaHostAddress2}:9093,3@${kafkaHostAddress3}:9093

############################# Socket Server Settings #############################
listeners=PLAINTEXT://${kafkaHostAddress3}:9092,CONTROLLER://${kafkaHostAddress3}:9093
advertised.listeners=PLAINTEXT://${kafkaHostAddress3}:9092

############################# Log Basics #############################
log.dirs=/usr/local/kafka_version/logs/kraft-combined-logs
num.partitions=3

############################# Internal Topic Settings  #############################
offsets.topic.replication.factor=3
transaction.state.log.replication.factor=3
transaction.state.log.min.isr=3

위와 같은 설정으로 각 서버(노드)마다 Quorum Controller를 지정하여 추후 Failover 상황 발생 시에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5. 카프카 기동시키기

1
2
3
4
5
// 각 노드들에 설치된 카프카를 실행합니다.
sudo ./bin/kafka-server-start.sh -daemon ./config/kraft/server.properties

// 실행 후 로그를 확인합니다.
tail -f logs/server.log

6. 상태 확인하기

1
2
3
4
5
// 클러스터 상태를 확인합니다.
./bin/kafka-metadata-quorum.sh --bootstrap-server ${kafkaHostAddress1}:9092,${kafkaHostAddress2}:9092,${kafkaHostAddress3}:9092 describe --status

// 브로커들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bin/kafka-metadata-quorum.sh --bootstrap-server ${kafkaHostAddress1}:9092,${kafkaHostAddress2}:9092,${kafkaHostAddress3}:9092 describe --replication

컨트롤러 Failover

카프카는 한 컨트롤러가 다운되었을 때 Raft 알고리즘을 통해 리더를 재선출합니다.

Raft 용어

  • 임기(Term): 정치 선거제에서의 “제1대”, “제2대”와 같은 성격의 번호값입니다.
    • 이 번호값은 새로운 선거가 시작된 시점부터 그 선거로 선출된 리더가 리더로서 기능하는 동안까지의시간을 대표합니다.
  • 선거 타임아웃(Election Timeout): 팔로워가 후보자로 변환되기까지 대기하는 시간입니다.
    • 타임아웃은 모든 팔로워 및 후보자 노드에게 150~300ms 사이의각기 다른 임의의 값으로 주어집니다.
  • 하트비트(Heartbeat): 리더가 모든 팔로워에게 주기적으로 발송하는 메시지입니다.
    • 이 메시지에는 클라이언트의 명령 전파를 위한 로그(log)가 포함되지 않고 오직 리더가 자신의 상태를 알리는(유지)하는 수단입니다.

Election 과정

  1. 클러스터에 리더가 없는 상태에선 모든 노드가 팔로워 상태를 유지하며 각자에게 주어진 Election Timeout이 될 때까지 대기합니다.
  2. Election Timeout이 가장 먼저 끝난 노드가 후보자로 전환되고, 새로운 선거 임기(Term)가 시작됩니다.
  3. 후보자 노드는 즉시 자신에게 한 표를 준 뒤 다른 노드들에게 투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합니다.
  4. 투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해당 임기 중에 아직 투표한 적이 없다면, 그 메시지의 발신처인 후보자에게 투표 메시지를 보낸 후 자신의 Election Timeout을 초기화합니다.
    1. 이는 현재 투표 과정에 있는 후보자 노드(들) 외에 또다른 후보자가 출현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5. 전체 노드 수의 과반에 해당하는 응답을 얻은 노드는 해당 임기(Term)에 대한 새로운 리더로 선정됩니다.

새롭게 선출된 리더는 하트비트를 전송하고 팔로워는 이를 수신할 때마다 자신의 Election Timeout을 다시 초기화하며 팔로워 상태를 유지합니다.

리더 노드에 문제가 생긴다면?

  1. 팔로워 주어진 Election Timeout 이내에 리더로부터 어떠한 메시지도 받지 못한 팔로워 노드는 즉시 후보자로 전환됩니다. 이때 클러스터의 임기(Term) 번호가 1 증가하게 되며, 곧바로 새로운 리더 선출이 시작됩니다.
  2. 클러스터의 각 노드는 현재의 임기(Term) 번호를 저장해두고,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마다 이 번호를 함께 포함시킵니다.
  3. 문제가 생겼던 이전의 리더 노드가 복구되어 클러스터와 다시 연결되면, 이 노드는 클러스터가 공유하는 임기(Term) 번호를 자신의 번호와 비교합니다.
  4. 현재 클러스터의 임기(Term) 번호보다 자신의 번호가 낮은 것을 확인한 이전의 리더 노드는 팔로워로 전환됩니다.

누구도 과반을 얻지 못했다면?

4개 노드의 클러스터에서 우연히 2개의 후보자가 동시에 나타나서 각 2표씩 얻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누구도 과반을 얻지 못한 경우에는 그대로 해당 임기를 종료하고 새 임기와 함께 재선거를 시작합니다.
  2. 이때 이전 선거처럼 동점자가 다시 나타나지 않도록, 뗏목 합의 알고리즘(Raft Consensus Algorithm)은 매 선거가 시작될 때마다 후보자 노드들의 Election Timeout 값을 랜덤하게 재조정합니다.
  3. 만약 클러스터 안에 죽은 노드가 너무 많아서 어떤 노드도 과반의 득표를 얻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리더 선출이 불가능합니다.
  • Election Timeout 이 여러 노드에 랜덤하게 부여된다.
  • 먼저 ElectionTimeout이 끝난 노드가 투표해달라고 요청한다.
  • 투표를 하지 않은 노드들이 해당 후보자에게 투표한다.

정족수(Quorum)

전체 노드 수(N) 중 자기 자신을 포함하여 최소 과반의, 즉 (N+1)/2 이상의 응답을 얻어야 합니다. 이때 요구되는 최소한의 노드 수, 즉 (N+1)/2와 같거나 큰 자연수가 정족수(Quorum)입니다.

내결함성을 위한 최적의 노드 수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을 채택한 분산 시스템에서는 전체 노드 수를 가급적 3개 이상의 홀수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1. 최소 3개의 노드가 있어야 클러스터가 내결함성(Fault Tolerance)을 갖출 수 있습니다.
  2. 전체 노드 수가 홀수일 때 허용 가능한 장애 노드 수의 비율이 좀 더 높습니다.

N개의 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가정해보자. 최소 과반수가 정상 동작해야 한다는 알고리즘의 조건을 고려할 때, 허용 가능한 장애 발생 노드 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N이 홀수(2k+1)일 때 : k개 노드의 장애까지 허용 가능
  • N이 짝수(2k)일 때 : k-1개 노드의 장애까지 허용 가능
전체 노드 수필요 정족수허용 가능 장애 노드 수
110
220
321
431
532
642
743
853
2k(짝수)k+1k-1
2k+1(홀수)k+1k

위 표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전체 노드 수가 3개 이상이어야 허용 가능한 장애 노드가 생깁니다.
    • 2개의 노드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은 자원 관리의 측면에서나 내결함성의 측면에서나 모두 비효율적인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 3 이상의 짝수 개로 노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그러나 클러스터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족수의 비율이 홀수인 경우에 비해 높다는 단점을 감수해야 한다.
      • 가능하다면 더 적은 수의 노드로 동등한 수준의 내결함성을 가질 수 있는 홀수 개의 노드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 Raft Consensus Algorithm의 경우에는 분할 투표(split votes (투표 동률))로 인한 리더 선출의 불필요한 반복과 명령 처리 지연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홀수 개의 노드 운영이 권장됩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